Ⅲ. 음성 표현 연구
시는 말을 재료로 해서 이루어지는 예술인만큼 이러한 특질을 더욱 섬세하게 활용해야 한다.
같은 시를 낭송하더라도 시를 낭송하는 사람에 따라 감동을 받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 것은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음성의 표현방법에 따라 효과가 크게 달라질
것이다.
즉 변화 있는 음성의 고저, 강약 또는 장단, pause(쉼)을 잘 조절하여 표현해야 그 효과가 커지게
된다.
1. 음성의 고저(高低)
음성의 고저란 음성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높고 낮음을 말한다. 음성의 고저에 대한 변화 없이 책을 읽는
것처럼 일률적으로 시낭송을 한다면 지루할 뿐만 아니라 아무런 감동을 주지 못하게 된다. 낭송할 시에 어울리도록 높고
낮음을 조화롭게 표현하여야 할 것이다.
① 고음(高音)
고음은 시낭송자가 시 내용 가운데 가장 강조하고 싶은 곳을 사용한다. 이때에는 점차 단계적으로 고조
시켜 클라이맥스를 터트리면 효과가 있다.(간혹 가장 강한 클라이맥스 부분을 아주 작은 소리로 하여 효과를 보는 경우도
있다)
이 때 주의할 점은 거친 소리가 나지 않도록 주의하고 자기 본래의 정상적인 소리로 되돌아오는 것이 어렵지 않도록
한다.
② 중음 (中音)
중음이란 보통 말하는 소리보다 좀더 큰소리이다. 중음은 저음에서 고음으로, 고음에서 저음으로 연결하는 매개체가
되므로 처음부터 끝까지 음성의 중심을 이루는 음이다.
③ 저음 (低音)
저음은 주로 신뢰를 나타내는 구절, 숭고한 내용, 슬픔, 패배와 고뇌, 사죄의 문구에 사용한다.
모든 시에는 다 각기 그 나름의 어조가 있다. 시의 어조는 작품의 주제, 분위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어떤
어조가 다른 어조보다 반드시 좋다든가 효과적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확실한 것은 그것이 작품의 전체적 흐름과 맞아야 한다는 점이다.
시의 어조에는 남성적, 여성적 어조가 있는가 하면 강건, 온화, 우미, 비애의 어조 또는 풍자, 해학, 냉소의
어조, 한국 전통시의 어조는 한이 서린 여성적 어조가 많다.
* 예) 「아직은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신석정
저 재를 넘어가는 저녁 해의 엷은 광선들이 섭섭해 합니다. 어머니,
아직 촛불을 켜지 말으세요. 그리고 나의 작은 명상의 새 새끼들이 지금도 저 푸른 하늘에서 날고 있지 않습니까? 이윽고 하늘이 능금처럼 붉어질
때 그 새 새끼들은 어둠과 함께 돌아온다 합니다.
(중략)
이 작품의 어조는 호소하는 듯 나직하고 부드럽다. '-ꑁ니다', '-세요', '-ꑁ니까?' 와 같은 말끝에서
느껴지는 말씨는 작품 속에서 어머님께 드리는 정겹고도 온화한 목소리를 느끼게 해 준다. 이러한 말씨에
어울려서 '저녁 해의 엷은 광선', '작은 명상의 새 새끼들', '하늘이 능금처럼 붉어질 때' 등의 구절이
이루는 아늑한 분위기가 더욱 절실하게 살아나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나지막한 호소의 말씨를 빼버린다면 아주 딱딱한 시가 되어 버릴 것이다.
2. 음성의 강약 (强弱)
시낭송을 할 때나 말을 할 때의 기본 조건은 청중이 알아들을 수 있는 정도의 음성으로 말해야 한다. 여기에는
음성의 고조. 강약 등이 적절히 조화되어야 한다.
ⓛ강음 (强音)
강음은 환희에 찬 내용, 급박한 상황, 날카로운 내용, 예리한 공격을 할 경우에 사용하는데, 감정이
차차 고조되면 높은 음성과 함께 강한 음성이 비례되어 사용된다. 너무 자주 사용하면 시낭송의 분위기를
깨 뜨릴 염려가 있으니 약음과 조화를 이루어 사용토록 한다.
* 예1) 「푸른하늘 아래」 박두진
2연 이리들이 으르댄다. 양떼들이 무찔린다. 이리들이 으르대며
이리가 이리로 더불어 싸운다. 살점들을 물어뗀다. 피가 흘른다. 서로 죽이며 작고 서로 죽는다. 이리는 이리로 더불어 싸우다가, 이리는
이리로 더불어 멸하리라
(중략)
* 예2) 「바다」 서정주
귀 기울여도 있는 것은 역시 바다와 나뿐. 밀려왔다 밀려가는 무수한
물결 위에 무수한 밤이 왕래하나 길은 항시 어디에나 있고, 길을 결국 아무데도 없다.
............................
4연 애비를 잊어버려
에미를 잊어버려 형제와 친척과 동무를 잊어버려,
마지막 네 계집을 잊어버려, 알라스카로 가라, 아니 아라비아로 가라, 아니 아메리카로 가라, 아니
아프리카로 가라, 아니 침몰하라. 침몰하라. 침몰하라!
(중략)
이 작품의 어조는 거칠고 격렬하다. 한 젊은이의 절망감과 미칠 것만 같은 답답한 마음이다. 그
젊은이가 무엇인가 커다란 욕구와 들끓는 젊은 정열을 가지고 있으나, 모든 것이 캄캄하게 가로막혀 있는
처지이다.
그래서 그는 '귀 기울여도 있는 것은 역시 바다와 나뿐'이라 하고 '길은 항시 어디에나 있고 길은 결국 아무 데도
없다'고 절망적으로 외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그의 가슴속으로부터 끓어오르는 정열은 현실의 속박을 뿌리치고 미지의 세계로 달려가고 싶은 욕망이
된다. 그러나 그 욕망이 이루어질 수 없는 벽에 부딪히기 때문에 그는 '침몰하라. 침몰하라. 침몰하라'는 파괴적 충동까지도 느끼는 것이다.
이처럼 격렬하게 솟구치는 감정의 흐름을 차분하고 점잖은 말투로 낭송한다면 볼품없는 시낭송이 될 것이다.
② 약음 (弱音)
슬픔과 정숙, 부드러운 내용, 자연스러운 상황 등에 사용하나, 약음을 너무 오랫동안 계속하면 힘이
없어 보이므로 중음과 강음을 조절해야 한다
3. 음성의 장단(長短)
우리 나라의 말에는 음의 장단 구별이 엄연히 있으므로 이것을 정확히 발음해야 한다. 그런데 일상생활의
대화는 물론 시를 낭송할 때도 잘못 사용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낭송할 시가 정해지면 국어사전을 펴놓고 일일이 장단음을 표시해야 한다.
우리 나라 말의 같은 '장'일지라도 길게 '장'으로 발음하면 장(長)을 뜻하지만, 짧게 '장'하면 장(場)을 뜻
한다. 같은 발음일지라도 길이에 따라 뜻이 다르다.
장단에 관한 내용은 그 동안 세미나에서 많이 다룬 내용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4. 음성의 속도
음성의 속도는 말을 할 때, 말과 말 사이의 쉬는 시간, 또는 음절과 음절 사이의 쉬는 시간에 의해
결정 된다. 이 속도의 변화는 시낭송의 흐름을 좌우한다. 일반적으로 말의 속도는 다음과 같은 것이
보통이다.
① 방송 - 원고지(200자) 2장을 1분에 한다.
② 웅변이나 연설 - 원고지 10장 정도를 7분, 또는 원고지 12장 정도를
8분에, 원고지 15장 정도를 10분에 한다.
③ 나의 주장발표 - 원고지 8~9장 정도를 5분에 한다.
④ 보통 대화 - 1분에 120자 내지 150자의 속도로 말하나, 말의
내용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⑤ 시낭송 - 시낭송에서 작품의 분위기에 맞는 속도는 매우 중요하다. 시의 내용에 따라 호흡을 끊어가면서 여유를
가지고 낭송해야 할 것이다.
보통 현실이 급박한 내용, 격한 감정을 표현할 때, 기쁘고 명쾌할 때는 빠른 편이며 정서적이고
자연스러운 내용, 슬프거나 생각이 깊을 때는 일반적으로 느리다.
시낭송에서는 말과 말소리의 어간(Pause)이 매우 중요하다. Pause를 잘 활용하면 색다르고도 개성 있는
시낭송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예 1) 「일요일 행진곡」 김기림
월 화 수
목 금 토
하낫 둘 하낫 둘 일요일로 가는 "엇둘,
소리......" 자연의 학대에서 너를
놓아라 영사의 여백(餘白) 영혼의
위생(衛生)데이......... 일요일의 들로 바다로..........
이 시의 첫 연에서는「월,화,수,목,금,토」의 각 요일이 한 자씩 한 행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둘째 연에서는 또 두 번 되풀이되고 있는「하낫 둘」의 두 번째 구령이 한 칸 아래로 처지게 배 치되어
있다. 이러한 행 구분의 전자는 월요일부터 시작되는 한 주일의 생활이 토요일까지 이르는 동안 차츰 힘이 빠지는 과정을 그림을 그리듯 나타내려는
의도의 소산이다. 그리고 후자의 한 칸 아래로 배치 된「하낫 둘」은 두 번째 구령의 소리가 좀 낮게
발음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렇게 글자의 배치를 통해 어떤 시각적 효과를 노리는 시를 낭송할 때는 그 효과를 충분히 살려주어야
할 것이다.
*예 2) 「금잔디」 김소월
잔디, 잔디, 금잔디,
심심산천에 붙는 불은 가신 임 무덤 가에 금잔디.
여기서 잔디를 읽을 때 한마디마다 여유를 두고 띄어서 읽어야 할 것이다. 차분하고 느린 호흡으로 이 잔디가 보통의
잔디가 아니라 이미 죽어서 묻힌 임의 무덤에 난 잔디라는 것을 표현해서 쓸쓸한 기분이 나도록 해야 한다.
5. 음성의 양
말소리의 양을 음량(Volume)이라고 하며, 남자의 목소리는 비교적 풍부한 두꺼운 소리이나 여자의 목소리는 가는
소리인 것이 보통이다. 사람의 목소리는 대개 변성기를 통하여 음량이 변화되며, 목소리 다듬 기에 따라서 달라진다. 시낭송을 할 때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음량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듣는 사람 에게 느낌을 더해 주기도 하고 덜해 주기도
한다.
6. 음성의 흐름
말소리의 흐름을 음의 흐름(Rhythm)이라고 하며, 우리가 하는 말에는 흐름의 변화가 있어야 듣는
사람이 느낌을 보다 강하게 받는다. 일반적인 말도 흐름이 일정하다면 말의 뜻을 이해하기 어려울 뿐더러
말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 지루하고 딱딱한데 운율을 가진 시낭송은 더욱 말할 것도 없다. 시의 리듬은
내용의 흐름을 도와주고 한층 더 생생하게 하면서 구체적인 감동을 준다.
시는 자연스럽게 읽다보면 저절로 규칙적인 호흡, 즉 리듬을 가진다. 시는 곧 운율이다. 조지훈은 '시는 언어의
운율적인 조형'이라고 했고 E. A. Poe는 '미의 운율적 창조' 라고 하였다. 시의 운율이란 주기적인 악센트나 가락의 지속과 관련된 음악적
구문이 특징일 것이다. 음악성과 euphony의 효과를 낳는 음, 그 리고 율격(metre)과 리듬을 낳는
음의 기준 즉 음의 고조, 장단, 강약, 반복의 빈도, 양적 특질을 주는 요소가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모음조화, 자음접변 등 음의 동화현상이
많은 것과 의성어가 발달된 것을 들 수 있다.
운율에는 그 형태가 시의 겉에 드러나 있는 운율, 즉 외형율과 그 형태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내면에
흐르는 운율, 즉 내재율 두 가지가 있다. 전자는 주로 정형시에서, 후자는 자유시와 산문시에서 보인다.
시에는 음의 위치에 따라 두(頭), 요(腰), 각(脚) 어디에나 정해진 위치에 따라 비슷한 음을 반복함으로써
이루는 음악적 율격이 있고 음수율(音數律)로서 4·4조와 7·5조가 대표적 음조라고 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근대시는 대개 음악적인 시, 리듬이 우세한 시들이 많다. 그러나 이상, 김기림, 김광균
등의 모더니즘이 싹트고 현대시가 인식되면서부터는 시의 음악성이 많이 경감되어지고, 오히려 이미지의
효과와 시의 회화성이 크게 어필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시가 아무리 산문의 시대요 '생각하는 시'가 많다고
하더라도 시의 리듬을 전적으로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예 1) 「푸른 하늘 아래」 박두진
내게로 / 오너라.// 어서 / 너는 / 내게로 /오너라.//--불이 / 났다.// 그리운 / 집들이
타고, // 푸른 / 동산// 난만한 /꽃밭이 타고,//이웃들은 / 이웃들은 다 / 쫓기어 / 울며울며 / 흩어졌다.//
아무도/없다.//
이 시는 산문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율독을 해보면 2음보가 중첩된 것을 알 수 있다. 2음보는 4음보를
둘로 분할한 것이기 때문에 4음보의 변형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예 2)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지금은/ 남의 땅,/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 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중략)
이 시는 1연과 10행을 제외하고는 모두 3행의 형식성을 갖추고 있다. 이들 3행의 각 연은
3음보-4음보-6음보로 변화되는 동일한 패턴의 율격을 형성하고 있다.
7. 음성의 억양
음성의 억양(Accent)이란, 낱말의 고저와 강약을 뜻하는 것으로, 우리말에도 낱말의 어느 음절에는 억양이
들어간다. 억양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으며 사투리의 억양은 알아듣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두 음절 이상을 소리낼 때 어떤 음절이 보통 세게 발음되는데 이를 강음이라고 하기도 한다. 영어나 불어,
독일어에는 강약 액센트(Stress Acceent), 또는 강력 액센트(Dynamic Accent)가 있다.
① 첫 음절의 억양
머리, 배짱, 청년, 거리(距離), 적다(少), 간다. 본다, 종로(鍾路), 원조(援助) 머리가 긴 배짱 있는
청년들이 거리를 간다.
② 끝 음절의 억양
합법(合法), 피해(被害), 시늉(흉내), 토끼 합법적으로 살면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이숭녕 박사는 전후음 관계는 첫 음의 모음이 되어 그 반동으로 끝음절이 억양을 가지게 되는 예도 있다고
규정하였는데, 그 예로는 토끼 . 합법. 피해. 시늉 등이 있다.
8. 음성의 색깔
시는 언어를 통해 어떤 대상이 감각적으로 마음속에 재생되어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등 모든 신 체적
감각이 동원되며 이들 감각 중 둘 이상의 감각이 동시에 하나의 심상을 형성하는 공감각적 수법이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면 김광균의 시「설야」처럼 한밤중 눈오는 소리를 시인의 상상력으로 만들어낸 이미지의 소리로
'먼 곳에 여인의 옷벗는 소리' 라고 표현한 것도 있고, 박두진의 시「묘지송」에서 멧새소리의 의성어인
'삐이삐이 배, 뱃종! 뱃종' 이나, 박목월의 시「산그늘」에서는 경상도 지방에서 멀리 송아지를 부르는 소리인 향토적
정서를 자아내는 효과음으로 '워어어임아 워어어임' 이라는 귀에 선 의성어를 접하게 된다.
또한 박재삼의 시「매미울음에」에서는 매미소리를 '明明한 明明한 매미가 우네' 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렇게 독창적으로 표현하는 여러 가지 색을 시낭송가는 말맛을 살리도록 제대로 표현해야 할 것이다.
음성의 색깔인 음색(Timber:Feeling)은 같은 말이라 하더라고 소리의 색깔에 따라 느낌의 차이를 준다.
내용과 상황에 따라서 어둡고 밝은 색깔이 구분되며, 감정에 따라서 기쁘고 명랑하고 쾌활할 때는 밝은 색깔,
슬프거나 생각이 깊을 때는 어두운 색깔을 띠게 된다.
꿈이 있는 어린이들의 목소리는 대개 푸른 색깔이며, 아름다운 사랑을 나누는 젊은 청춘 남녀의 대화는
대개 분홍빛을 띤 반면에 힘들고 거친 내용의 시에서는 어두운 회색빛을 띠게 된다.
내용과 상황에 따라 목소리의 색깔에 변화를 주면 느낌을 강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시적 자아에 표출되는
목소리의 성향으로 색감을 입히고 표현을 하면 더욱 시의 맛을 잘 낼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