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음성언어로 표현되는 시 낭송을 잘 하려면
우선 묵독을 하여 시의 내용을 진지하게 음미해야 한다.
시의 이미지와 정감을 생각해보고 소리를 내어
그 시의 느낌을 남에게 진실하고 솔직하게 들려줘야 한다.
듣는 이로 하여금 그 시의 뜻을 이해하고 이미지가 살아나서
시속에 묻어 있는 희노애락의 감정을 보다 많이 느끼도록 해야 한다.
시 낭송을 할 때는 목소리를 가다듬어 개성 있는 목소리로
어조를 높였다 낮췄다 하면서 부드럽게, 강하게
누가 들어도 쾌감을 느끼고 정감을 갖도록 해야 한다.
또한 시의 종류에 따라 낭송자 자신의 성격을 주입시킬 것과
그렇지 않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낭송해야 할 것을 구별해야 한다.
따라서 낭송자의 능력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시 낭송을 잘 하려면 표현기교나 요령에 앞서
아름다운 우리말에 대한 보다 정확한 지식과 이해가 있어야 한다.
한글 표준어의 조건에 맞는 표준 발음을 사용해야 한다.
표준 억양을 비롯한 끊어 읽기, 호흡법, 발성법, 소리의 높낮이 조절 등
여러 가지 조건이 있지만
여기서는 표준발음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
Ⅱ.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을 정하는 규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표준어 규정'으로서 우리나라 에서 본보기가 되는 말을 정한
규칙이다.
우리나라 말에는 하나의 사물이 두 개 이상의 이름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때 어느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것인가를 정해 놓은 규칙이 바로 표준어 규정이다.
둘째는 ' 한글 맞춤법'이다.
이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확실하게 정하고, 그것으로 국어를 표기하는 법을 정한 규범이다.
즉 표준어를 적을 때 '소리나는 대로 적을 것인가'
아니면 '의미를 밝혀 적을 것인가' 등을 적은 것이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법칙은
1988년 1월 19일 문교부에서 정한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이다.
|
Ⅲ. 표준 발음
1. 소리의 고저장단
각 낱말의 고저가 없다면 장시간 말을 할 수 없을 것이다.
바람의 힘을 빌리지 않고도 파도타기가 파도의 리듬과 피치에 의해서
전진이 가능하듯 장단, 고저의 역할은 언어에서도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이다.
우리말에서 모음은 길게도 소리 낼 수 있고 짧게도 소리 낼 수 있다.
이 소리의 길이는 단어의 뜻을 분별하는 힘이 있다.
시 낭송은 음성으로 표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글자는 같은데 장,단음이 다른 말은
정확하게 발음하지 않으면 혼란을 일으키기 쉽다.
현재 발표된 동형이의어(同形異義語)는 만오천 단어이다.
가ː장(假裝·假葬) 가·장(家長) |
가ː재 가·재(家財) |
가ː정(假定) 가·정(家庭) |
강ː도(强盜) 강·도(强度)
|
개ː발(犬足) 개·발(開發) |
개ː성(個性) 개·성(開城)
|
거ː리(距離) 거·리(街) |
건ː조(建造) 건·조(乾燥) |
고ː문(古文) 고·문(拷問) |
고ː성(古城) 고·성(高聲·高城)
|
고ː전(古典) 고·전(苦戰) |
간ː(肝) 간·
|
간ː부(奸婦·夫) 간·부(幹部) |
감ː사(感謝) 감·사(監査)
|
감ː정(感情) 감·정(鑑定) |
경ː계(警戒) 경·계(境界)
|
경ː로(敬老) 경·로(經路) |
경ː비(警備) 경·비(經費)
|
고ː목(古木) 고·목(枯木) |
과ː장(誇張) 과·장(課長)
|
광ː주(廣州) 광·주(光州) |
구ː두(口頭) 구·두(신발)
|
고ː해(告解) 고·해(苦海) |
과ː거(過去) 과·거(科擧) |
금ː주(禁酒) 금·주(今週 ) |
기ː생(妓生) 기·생(寄生)
|
구ː(具) 구·(丘)
|
사ː과(謝過) 사·과(과일) |
돌ː집(石造建物) 돌·집(생일집) |
새ː소리(새의 소리) 새·소리(새로운 소리)
|
여ː권(與圈) 여·권(女權·旅券)
|
전ː철(電鐵) 전·철(前轍)
|
정ː당(正當) 정·당(政黨) |
모ː자(母子) 모·자(帽子)
|
굴ː(石花) 굴·(窟)
|
종ː(奴) 종·(鍾) |
군ː정(郡政) 군·정(軍政) |
무ː력(武力) 무·력(無力)
|
부ː자(富者) 부·자(父子) |
영ː동(永同) 영·동(嶺東)
|
부ː정(否定) 부·정(不正) |
영ː리(怜悧) 영·리(榮利)
|
비ː단(緋緞) 비·단(非但) |
연ː기(演技) 연·기(煙氣)
|
유ː(柳) 유·(兪·劉) |
타ː력(打力) 타·력(他力)
|
장ː사(壯士) 장·사(商業) |
하ː품(下品) 하·품(졸릴 때 나오는 깊은 숨)
|
장ː수(將帥) 장·수(商人·長壽) |
중ː상(重傷) 중·상(中傷)
| |
2. 모음의 발음
우리말의 발음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단모음의 발음이다.
표준발음법에서 규정한 단모음은 10개로 되어 있다.
모음의 발음법은 우선 단일구조의 단모음 '葡, 蓡, 薡, 蚁, 蝡, 螡'를 연습한 후에
'蛡, 虁'를 익히고 가장 어려운 '蒁, 蕁'를 완벽하게 발음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개 네 마리와 게 네 마리
새 세 마리와 세 놓은 집
새며느리가 새집을 샀다.
세 며느리가 새집을 샀다.
이중모음은 '蒡, 蓁, 蕡, 薁, 藁, 藡, 虡, 蚡, 蛁, 蝁, 蓡'의 11개이다.
현대가 헨데, 결혼이 겔론, 경기도가 겡기도, 형님이 헹님으로 소리나는 일이 없어야 한다.
장관이 장간,장관과가 장간가, 천원이 처넌으로 소리나는 일이 많은데
이 또한 발음 훈련으로 극복해야 한다.
'의'의 발음은 첫소리에서는 이중모음으로, 둘째 음절 이하에서는
'이'로, 조사에는 '에'로, 자음에 붙으면 '이'로 발음하도록
한다.
|
4. 받침의 발음
머리와 입으로 외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며,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발음 연습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여덟 【여덜】 넓다 【널따】 맑다 【막따】
맑고 【말꼬】 밟다 【발ː따】 밟소 【밥ː쏘】
늙다 【늑따】 늙고 【늘꼬】 여덟 【여덜】
밟는 【밥ː는】 읊고 【읍꼬】 읊다 【읍따】
얇다 【얄ː따】 얇고 【얄ː꼬】 맑게 【말게】
5. 소리의 동화(특히 자음접변, 구개음화)
주위 소리에 이끌리어 그와 비슷한 소리로 변동하는 것을 말한다.
곧이듣다 【고지듣따】 몫몫이 【몽목씨】 생산량 【생산냥】
벼훑이 【벼홀치】 옷 맞추다 【온마추다】 이원론 【이ː원논】
굳히다 【구치다】 값 매기다 【감매기다】 논리 【놀리】
닫히다 【다치다】 의견난 【의ː견란】 상견례 【상견녜】
십리 【심리】 먹는 【멍는】 대관령 【대ː괄령】
국물 【궁물】
먼바다 【먼ː바다】 헌법 【헌ː법】
건강 【건ː강】 감기 【감ː기】
산골논밭 【산꼴논밭】 대한민국 【대한민국】
말한 것입니다 【말한 것입니다】
6. 경음화와 격음화
필요에 의해서 경음화가 격음화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불소 【불쏘】 몰상식 【몰쌍식】 만날사람 【만날싸람】
말살 【말쌀】 신바람 【신빠람】 잠자리 【잠짜리】
문고리 【문꼬리】 산새 【산쌔】 (잠을 자는 사람)
눈동자 【눈똥자】 불세출 【불쎄출】
|
7. 음운의 첨가
우리말은 발음을 편히 하기 위해서 이거나 관습에 의해서 복합어일 경우에 소리가 첨가되는 말이 있다.
솜이불 【솜니불】 막일 【망닐】
맨입 【맨닙】 내복약 【내봉약】
색연필 【생년필】 늑막염 【능망념】
영업용 【영엄용】 식용유 【시공뉴】
서울역 【서울력】 휘발유 【휘발류】
옷입다 【온닙따】 잘입다 【잘립따】
8. 방언이 표준어로 편입
오늘날 빈번한 인구 이동으로 방언이 표준어로 편입되면서
본래의 표준어와 함께 복수 표준어가 된 것 들이 있다.
다음의 왼쪽은 방언이 표준어로 된 것이다.
멍게 / 우렁쉥이
물방개 / 선두리
애순 / 어린순
방언이 더욱 우세하여짐으로써 방언을 표준어로 삼고,
본래의 표준어는 비표준어가 된 것.
이러한 말은 특히 잘 가려내야 할 것이다.
귀밑머리(귓머리)
빈대떡(빈자떡)
생인손(생안손)
|